Programming/Android

    [Android] TextView

    행간 설정 글자 스타일 설정 글자 크기 설정

    [Android] Constraint Layout

    Constraint Layout은 복잡한 레이아웃을 단순한 계층 구조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ViewGroup으로 레이아웃에 배치되는 뷰들에 여러 제약(Constraint)을 적용하여 각 뷰의 위치와 크기를 결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제약(Constraint)이란, 각 요소들의 최종 위치와 크기를 결정하게 될 조건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뷰 왼쪽 사이드를 지정된 뷰의 오른쪽 사이드에 맞추거나, 뷰의 왼쪽,오른쪽 사이드를 각각 부모 레이아웃의 왼쪽, 오른쪽 사이드에 맞추는 것 등을 말하며, 이러한 각각의 제약(Constraint)은 Constraint Layout이 가지는 하나의 레이아웃 속성으로 매핑된다. View들과 관계를 정의해서 레이아웃을 구성한다는 점이 Relative Layout과 비슷하지..

    [Android] Grid Layout

    사각형 그리드에 자식 뷰를 위치시키는 레이아웃입니다. 행과 열로 구성된 그리드에 셀을 이용해 자식 뷰를 표시한다는 점은 TableLayout과 유사합니다. 앞서 TableLayout도 N*N개의 셀에 대해서 행과 열의 개수가 0부터 시작해 N까지 총 N+1개가 있었습니다.(N번째 셀의 경우 N번째 열과 N+1번째 열 사이에 위치합니다) GridLayout도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해서 N까지 각각 N+1개의 행과 열을 갖고 있습니다.

    [Android] Frame Layout

    FrameLayout은 여러개의 View들을 중첩하고, 그 중 하나를 전면에 표시할 때 사용하는 레이아웃이다. 여러 뷰를 겹치게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이 뷰 위젯을 겹치지 않고 순서대로 화면에 배치하는 LinearLayout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FrameLayout을 사용하면 여러 View를 중첩하여 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하게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FrameLayout 화면에서 가장 전면, 즉 최상단에 보여지는 뷰는 xml 코드에서 가장 마지막에 해당하는 뷰가 배치된다. Linear Layout 같은 경우는 xml 에서 코드를 작성한 순서대로 화면에 배치가 되는데, Frame Layout은 이와 반대로 xml 코드를 작성한 순서 반대로 화면에 배치가 되어 xml의 가장 마지막으로 뷰가 ..

    [Android] Relative Layout

    Relative Layout은 부모(Parent) View 또는 자식(Child) View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정의하여 UI를 배치하는 Layout이다. LinearLayout은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View가 순서대로 배치되었지만 RelativeLayout은 View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정의하지 않으면 배치가 되지 않는다. 속성 뷰로 설정 layout_toRightOf="@" @뷰의 오른쪽 layout_toLeftOf="@" @뷰의 왼쪽 layout_aboveOf="@" @뷰의 위 layout_belowOf="@" @뷰의 밑 layout_toStartOf="@" @뷰의 시작부분 layout_toEndOf="@" @뷰의 끝부분 layout_alignRight="@" @뷰의 오른쪽으로 정렬 layo..

    [Android] Linear Layout

    Linear Layout은 View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레이아웃으로 orientation 속성을 통해 배치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기본설정은 가로(horizontal)로 되어있다. //하위 뷰들을 수직방향으로 배치 android:orientation = "vertical" //하위 뷰들을 수평방향으로 배치 android:orientation = "horizontal" 간단한 페이지를 구성할 때는 Linear Layout을 사용하는게 좋지만 복잡한 페이지는 Linear Layout을 여러 번 사용하고, 중첩된 레이아웃으로 인해 레이아웃 처리 시간이 늘어나게 되므로 결국엔 어플리케이션을 무겁게 만들게된다.

    [Android] Gradle Scripts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Gradle Scripts 라는 영역에 build.gradle, settings.gradle 등의 파일이 자동으로 만들지는데 이 파일들을 통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의 빌드 정보, 라이브러리 등을 관리할 수 있다. Gradle Scripts 의 구조 Gradle Scripts는 아래 그림과 같이 총 7개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1. build.gradle (Project: 프로젝트명) 프로젝트 수준의 gradle 설정 파일 2. build.gradle (Module: 프로젝트명.app) : 모듈 수준의 그레이들 설정 파일 : 모듈의 종류는 app모듈, 웨어러블 모듈, 안드로이드TV 모듈 등이 있다. : 보통 phone&tablet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기본으로 app ..

    [Android] AndroidManifest

    AndroidManifest.xml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앱의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확보해야 하는 앱에 대한 필수 정보를 시스템에 제공하는 목록 기본 설정 이 파일이 XML 문서임을 선언하는 문장 version은 XML의 버전을 의미하고 encoding은 이 파일에 적용되는 인코딩 방식이 무엇인지를 의미한다. manifest xmlns:android = "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android는 android라는 'namespace를 선언한다' 는 뜻이다. 여기서 namespace는 고유한 URI를 의미한다. packge = "com.example.rp3_cong_baemin" 이 정보로 앱을 식별한다. gradle 파일에 설정된 applica..